시사

‘말 뿐인’ 부산시 프리와이파이사업-“전형적인 탁상행정”

junamin 2020. 10. 4. 14:28

지난 8월10일부터 부산시내 버스정보안내기가 설치된 모든 버스정류장에서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가 시작됐다./사진=부산시

부산시의 프리와이파이 사업이 내년도 기본 예산조차 편성하지 않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는 질타가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2020년 본예산에도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고 지난 3차 추경에서 조차도 예산편성을 하지 못해 시장 공약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첫 삽 조차 뜨지 못하는 상황이다.

 

부산시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프리와이파이 사업은 총 3단계로 나눠져, 1단계는 2020년부터 도심지 밀집지역, 버스정류장, 지하철 주변 등이고 2단계는 21년부터 도시재생지역 중 저소득층밀집지역, 그리고 3단계는 관광지, 여객터미널 등에 이어지는 것이다.

 

부산시 관련 부서에 의하면 프리와이파이 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올해 8월 기준 부산시민 43만7764명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에게 445억원의 경제적 혜택을 줄 수 있다.

 

특히 부산시민의 통신복지 수혜 범위가 확대되고 관광객 편익을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결국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 동안 프리와이파이 구축사업 진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줄 것을 부산시에 촉구한 바 있는 김문기 부산시의원(더불어민주당, 동래구3)은 “내년도 예산 20억원 편성 요청에도 여전히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부산시의 태도에 대해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20년 본예산 및 3차 추경예산에서조차 편성하지 못한 프리와이파이 구축 사업에 대한 예산을 21년에는 반드시 반영하여 부산시민이 누릴 수 있는 데이터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부산시가 약속한 바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